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용(認容)이란?

시사

by collector coco 2025. 3. 19. 19:48

본문

728x90
반응형

 

 

인용이란 법원이나 행정기관이 제기된 청구·신청·소송을 받아들여 승인하는 결정을 의미합니다. 즉, 법적 요건과 사실관계를 심리한 결과 청구가 타당하다고 인정될 때 인용 판결이 내려집니다.


1. 인용과 기각·각하의 차이

인용은 법적 요구가 정당하다고 인정될 때 내려지며, 기각·각하와 반대 개념입니다.


인용 청구나 신청이 법적으로 타당하여 받아들여짐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법원이 원고의 주장을 인정하고 배상 판결
기각 본안 심리 후, 청구가 이유 없다고 판단되어 배척됨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가 손해를 입증하지 못해 기각
각하 절차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본안 심리 없이 배척됨 항소 기간이 지나 항소장을 제출한 경우 각하

2. 인용이 적용되는 주요 사례

① 민사소송에서의 인용

  •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한 청구가 타당하다고 인정될 경우 인용 판결
  • 예:
    • 계약 위반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원고의 주장이 법적으로 인정되어 배상 판결
    • 이혼 소송에서 한쪽 배우자의 유책 사유가 인정되어 이혼 청구 인용

② 형사소송에서의 인용

  • 피고인이 항소 또는 상고했을 때, 상급법원이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면 항소·상고 인용
  • 예:
    • 1심에서 징역 5년 선고받은 피고인이 항소하여 2심에서 형량이 줄어드는 경우
    • 재심 청구가 받아들여져 새로운 증거에 따라 무죄 판결

③ 헌법소원에서의 인용

  • 헌법재판소가 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위헌 또는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리는 경우
  • 예:
    • 특정 법 조항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판단되어 헌법 불합치 판결
    • 공직선거법 조항이 평등권을 침해한다는 헌법소원이 받아들여져 위헌 결정

④ 행정심판·소송에서의 인용

  • 행정청이 내린 처분이 위법·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취소·변경하는 결정
  • 예:
    • 국민이 세금 부과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했는데, 법원이 세금 부과가 부당하다고 보고 인용
    • 운전면허 취소 처분이 위법하다고 인정되어 인용

3. 인용 판결 이후의 효과

인용 판결이 내려지면 법적 권리가 인정되거나 처분이 변경·취소됨.

  • 민사소송: 피고는 판결에 따라 원고에게 배상해야 함
  • 형사소송: 피고인의 형량이 감경되거나 무죄 판결 가능
  • 헌법소원: 법률이 위헌으로 결정되면 해당 법 조항이 효력을 상실
  • 행정소송: 행정 처분이 취소·변경됨

4. 인용과 관련된 대표적인 판례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2017년): 헌법재판소가 탄핵 청구를 인용하여 대통령직 파면 결정
  • 종교적 병역 거부 헌법소원(2018년): 헌법재판소가 대체복무제 미비를 위헌으로 보고 헌법소원 인용

5. 결론

인용은 법원이나 행정기관이 청구인의 요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결정으로, 기각·각하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인용 판결이 내려지면 법적 권리가 보호되고, 행정 처분이 취소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야(下野)란?  (2) 2025.03.24
탄핵심판(彈劾審判)이란?  (2) 2025.03.19
각하(却下)란?  (2) 2025.03.19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0) 2025.03.19
기각(棄却)이란?  (1) 2025.03.1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