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득이 적을 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서울시 '디딤돌소득' 시범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한 생활

by collector coco 2025. 3. 29. 18:34

본문

728x90
반응형

 

서울시홈페이지 캡처

 

 

서울 디딤돌소득은 사회적 변화와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한 서울시의 새로운 소득보장정책입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기존 복지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울시는 정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2022년부터 5년간(2026년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연구·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합니다.

서울 디딤돌소득은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소득의 절반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소득보장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 거주지: 서울시에 주소지를 두고 거주하는 가구.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재산 기준: 3억2,600만 원 이하.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중 500가구를 선정하여 1년간 디딤돌소득을 지원합니다.

2024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소득 기준액 (월 기준):

  • 1인 가구: 1,114,222원
  • 2인 가구: 1,841,305원
  • 3인 가구: 2,357,328원
  • 4인 가구: 2,864,956원
  • 5인 가구: 3,347,867원
  • 6인 가구: 3,809,184원

지원 금액: 선정된 가구는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85% 기준액과 가구의 소득평가액 간 차액의 50%를 매월 지원받습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경우 소득이 없으면 월 최대 947,090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최대 11,365,080원에 해당합니다.

2024년 가구별 디딤돌소득 최대 지원액 (월 기준):

  • 1인 가구: 947,090원
  • 2인 가구: 1,565,110원
  • 3인 가구: 2,003,730원
  • 4인 가구: 2,435,220원
  • 5인 가구: 2,845,690원
  • 6인 가구: 3,237,810원

지급 방식: 현금 인출이 가능한 체크카드로 지원되며, 시범사업 기간인 1년 동안 매월 소득 및 가구 변동 조사를 반영하여 지원 금액이 조정됩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서울시는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