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통령 탄핵 후 절차

시사

by collector coco 2025. 4. 3. 21:12

본문

728x90
반응형

 

 

대통령이 탄핵되는 경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여러 단계의 후속 절차가 진행됩니다.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절차를 따릅니다.


1. 탄핵 절차 개요

대통령 탄핵은 크게 ① 탄핵소추(국회)② 탄핵심판(헌법재판소)③ 후속 절차로 진행됩니다.

탄핵이 확정되면?

탄핵심판에서 대통령이 파면되면, 즉시 대통령직을 상실하며 후속 절차가 진행됩니다.


2. 탄핵 후 즉각적인 변화

대통령직 상실

  •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은 즉시 직무가 정지되고, 전직 대통령의 예우(연금, 경호, 비서관 지원 등)도 받지 못함.
  • 단, 민형사상 면책 특권이 사라지므로 형사 처벌 가능.

국무총리의 권한대행 체제

  • 대통령이 파면되면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함.
  •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가 운영을 책임짐.

3. 조기 대통령 선거 절차

헌법 제68조에 따라 탄핵으로 대통령이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해야 함.

조기 대선 일정

  1.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 일정 공고
  2. 후보자 등록 및 선거 운동 기간
  3. 국민 투표 진행 (60일 이내)
  4. 당선자 확정 및 취임 (선거 후 30일 내 취임)

탄핵된 대통령은 재출마 불가능.


4. 탄핵 후 전직 대통령의 법적 책임

형사 처벌 가능

  • 탄핵되면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재임 중 기소 불가)이 사라짐.
  • 검찰이 수사를 개시하고, 혐의가 입증되면 기소 및 재판을 받게 됨.

퇴직 후 예우 박탈

  •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연금, 경호, 국립묘지 안장 자격 등이 박탈됨.
  • 단, 부인이 배우자 연금을 받을 권리는 유지됨.

재산 몰수 및 추징 가능

  • 불법적인 재산 축적이 확인되면 국가가 재산을 환수할 수 있음.

5. 정치적 후폭풍과 정국 운영

정국 혼란 가능성

  • 대통령이 탄핵되면 정치적 공백과 불안정이 초래됨.
  • 여야 간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음.

정당 재편 및 선거 판도 변화

  • 탄핵을 주도한 정당과 반대한 정당 간 대립 격화.
  • 대선 후보들의 정책 및 연대 전략 변화 가능성.

대통령이 탄핵되면 즉시 대통령직을 상실하고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습니다. 이후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실시되며, 탄핵된 대통령은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치적으로도 큰 변화가 생기며, 정당 개편과 국가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728x90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행(續行)이란?  (1) 2025.04.04
평의(評議)란?  (8) 2025.04.03
브렉시트(Brexit)란 무엇인가?  (1) 2025.04.02
자국우선주의(Nationalism or "America First" Policy)란?  (6) 2025.04.02
‘중도보수(中道保守)’란?  (3) 2025.04.0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