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첩사(防諜司, Counter Intelligence Command, CIC)는 군 내부의 보안과 기밀을 보호하고, 간첩 활동을 방지하는 군사 기관입니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방첩사령부(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DCC) 로 개편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의 역할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 간첩 색출 및 첩보 활동 방지
✅ 군사 기밀 보호 및 보안 유지
✅ 군 내 사조직 및 부정부패 감시
✅ 대테러 및 심리전 대응
✅ 사이버 보안 및 정보전 수행
🔹 1948년 국군 방첩대 창설
🔹 1977년 보안사령부로 개편
🔹 1991년 기무사령부로 개편
🔹 2018년 기무사 해체 & 방첩사령부 창설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각국에서도 방첩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 미국 🇺🇸 – FBI 방첩부, 군 방첩대(CID, OSI)
🔹 영국 🇬🇧 – MI5 (Security Service)
🔹 중국 🇨🇳 – 국가안전부(MSS)
🔹 러시아 🇷🇺 – FSB (연방보안국)
창설 시기 | 1991년 | 2018년 |
주요 역할 | 군 보안, 방첩, 정치 개입 논란 | 군사 보안, 방첩 중심 (정치 개입 최소화) |
주요 변화 | 군 내부 감시, 정치 개입 논란 발생 | 정치적 중립 유지, 순수 방첩 기능 강화 |
방첩사는 군 기밀을 보호하고, 간첩 및 스파이 활동을 차단하는 중요한 조직입니다. 과거 기무사의 정치 개입 논란을 줄이고, 순수한 방첩 및 보안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진보(進步)’란? (9) | 2025.04.01 |
---|---|
‘보수(保守)’란? (2) | 2025.04.01 |
기습 공탁의 악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 2025.03.28 |
기습 공탁 주의할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5.03.28 |
법원 공탁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 (1) | 2025.03.28 |